본문 바로가기

폐기능검사13

[의학지식] 기타폐기능검사_폐기능검사에 대한 고찰 14편 MAXIMUM EXPIRATORY PRESSURE & MAXIMUM INSPIRATORY PRESSURE최대 호기압과 최대 흡기압 최대흡기압과 최대호기압은 호흡근의 근력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최대호기압은 총폐기량(TLC)에 있어 최대 흡기 상태 후 호기하기 시작하여 0.9초간 힘껏 불어서 측정한 최대 압력을 말한다. 최대흡기압은 최대 호기 상태에서 흡기하기 시작하여 2초간 힘껏 숨을 들이마셔서 측정한 최저 음압이다. 적응증 1) 신경-근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호흡곤란을 호소할 때 신경-근 질환 때문에 호흡곤란이 발생할 때 아주 초기에는 최대호기압과 최대흡기압을 측정하는 것이 폐활량이나 최대자발성환기량을 측정하는 것보다 질병을 더 잘 찾아낸다. 2) 폐활량이나 최대자발성환기량만이 감소하였을 때.. 2020. 6. 20.
[의학지식] 천식유발검사_폐기능검사에 대한 고찰 12편 BRONCHOPROVOCATION TEST(천식유발검사, 기관지유발검사) 정상인의 기관지가 외부의 유해인자에 노출되면 기침 등의 증상이 일어나며, 이러한 기관지 반응(bronchial reactivity)은 생체의 적절한 방어기전이다. 이러한 기관지의 반응이 여러 비특이적 자극들에 대해 정상인보다 과다하게 나타나면 이를 기관지과민성(bronchial hyperresponsiveness)이라 한다. 기관지유발검사의 목적은 천식의 중요한 생리학적 특징인 기관지 과민성을 가진 환자를 찾는 것이다. 기관지 과민성을 나타내는 천식 환자에서 여러가지의 자극 즉 꽃가루, 찬 공기, 운동, 흡연, 먼지 등은 기도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기도 점막에는 염증을 유발한다. 천명, 호흡곤란, 기침이 전형적인 증상으로 이러한 증상.. 2020. 6. 19.
[의학지식] 최대호기유량_폐기능검사에 대한 고찰 11편 최대호기유량(Peak expiratory flow) 최대호유량은 가장 널리 상용되는 폐기능검사 중 하나이다. 값싸고 휴대하기 편한 측정기(peak flowmeter)로 환자는 집 또한 진찰실에서 간편하게 최대호기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최대호기유량은 천식 환자에서 일간(day to day) 기도 직경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천식 발작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또 회복된 상태에서의 기준 값을 알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최대호기유량을 측정하여야 한다. '정상 범위'는 외국 남자의 경우 500-700 L/min, 여자의 경우 380-500 ml/min로 알려져 있지만 개인간에 차이가 크다. 따라서 천식 조절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환자 본인 최상의 또는 평상시의 최대호기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 2020. 6. 18.
[의학지식] 기관지확장제 가역성 검사_폐기능검사에 대한 고찰 10편 기관지확장제 가역성 검사(Post-bronchodilator response,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testing) 기관지확장제 가역성 검사는 천식과 같이 기류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에서 진단, 치료에 대한 효과 및 그 질환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은 해당 환자에서 기도의 직경, 기관지 과민성의 정도, 사용된 기관지확장제의 종류 등에 의해 결정된다. 검사방법 기류 제한의 가역성은 치료 후 폐활량측정법을 반복 시행하여 측정할 수 있다. 초기 검사 후 속효성 베타 2- 항진제를 흡입하고(통상 2 puff) 15~30분 뒤 다시 폐활량측정법을 시행한다. 다른 기관지 확장제인 ipratropium bromide도 사용될 수 있으며 최대 .. 2020.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