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의학지식] 폐용적측정검사의 임상활용_폐기능검사에 대한 고찰 6편 5. 폐용적 정상치 폐용적은 정상인에서도 상한치와 하한치 모두 변이가 크며 폐용적의 해석에 있어서는 이 사실을 염두에 두는 것이 중요하다. 1) 정상치 변이에 관여되는 요인들 (1) 정상폐기능 자체가 개인간 차이가 크다. (2) 폐질환이 있을 때 한 가지 이상의 병리기전이 관여된다. (3) 보상적 적응에 의한 변동(예: 폐절제술 후의 폐 과 팽창) (4) 2차적 합병증: 호흡근 약화가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무기폐나 폐렴 등 2) 정상치 설정 방법 (1) 예상 기대치에 대한 백분율을 정상 범위로 설정하는 방법 TLC: 80~120%, FRC: 65~135%, RV: 65~135% (2) 95% 신뢰구간을 갖는 단독 수치를 쓰는 방법 TLC: 평균 ±1.077 L RV: 평균 ± 0.76 L 6. 폐용적측.. 2020. 6. 13.
[의학지식] 폐용적측정_폐기능검사에 대한 고찰 5편 FLOW-VOLUME CURVE 과거의 폐활량측정법은 시간에 따른 용적의 측정이었으나 전자장치가 발달함에 따라 최대노력성호기 및 흡기 시 유량과 용적의 변화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유량은 시간에 따른 용적의 변화이므로 이론적으로 폐활량측정법과 큰 차이는 없으나 같은 자료를 다른 방법으로 표시하였을 때 이해에 더욱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유량용적곡선은 정상인에서 성별, 연령 및 체격에 따라 유량과 용적의 절대치는 다를 수 있으나 그 곡선의 형태는 서로 비슷하므로 폐질환에 의한 형태변화를 시각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많은 임상경험으로 최대 노력성 호기 시 유량용적곡선의 측정이 과거의 폐활량측정법보다 진단에 좀 더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량용적곡선의 초기부분은 최대노력성호기.. 2020. 6. 12.
[의학지식] 노력성폐활량 검사 결과_폐기능검사에 대한 고찰 4편 2. Maximal-effort expiratory spirogram 최대노력성호기곡선으로는 다음과 같은 지표들을 얻을 수 있다. 1)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FEV1) 최대노력성 호기를 시작한 후 1초간에 내쉰 용적을 저장하며 여기에는 노력에 영향을 받는 곡선의 초반부가 포함되나 노력에 관계없는 중간부분도 상당히 이에 속하기 때문에 임상 진단을 위하여 충분히 재현성이 있으며 예민한 지표이다. 폐쇄성폐질환의 경우 이 지표가 감소하면 실제로 이 수치와 여러 호흡기질환의 정도, 장·단기 예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 되고 있다. 2) FEV1/FVC 1초간노력성호기량은 노력성폐활량이 감소하면 따라서 자동적으로 감소하게된다. 즉 FEV1 수치는 FVC에 의존.. 2020. 6. 11.
[의학지식] 노력성폐활량검사_폐기능검사에 대한 고찰 3편 Maneuver performance recommendation 노력성폐활량 측정법 Performance of FVC maneuver Check spirometer calibration Explain test Prepare subject Ask about smoking, recent illness, medication use, etc. Instruct and demonstrate test to subject Correct posture with head elevated Inhale completely Position mouthpiece Exhale with maximal force Perform maneuver Have subject assume correct posture Attach nose clip.. 2020. 6. 10.